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키아 : Nokia, 세계 통신 산업의 혁신을 이끈 핀란드 기업

by NewWinds 2025. 10. 16.

노키아(Nokia)는 1865년 핀란드 남서부 살로(Salo) 지역에서 펄프·제지 사업을 시작한 기업이 그 기원이지만, 20세기 말부터 21세기 초까지 전 세계 휴대전화 시장을 주도하며 통신 산업의 혁신을 이끈 대표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제지·전선·고무 제품 등을 생산하며 다각화된 산업구조를 가졌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휴대전화 사업에 집중하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1998년 세계 최초로 GSM 기반 디지털 휴대전화를 상용화한 이후,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는 전 세계 시장 점유율 40% 이상을 차지하며 ‘휴대전화의 표준’을 세웠습니다.

설립과 초기 사업 전개

노키아의 역사는 1865년 프레드릭 이달 하버만(Fredrik Idestam)이 탄소 함유량이 높은 가문비나무 펄프를 이용해 제지 사업을 시작하면서 시작됩니다. 이후 1898년에는 노키아 강 인근에 위치한 광산 도시 이름을 따 ‘노키아 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20세기 초반 산업 다각화를 위해 고무제품·케이블·전력 장비 사업에 진출했고, 1960년대에는 전신·전화 스위칭 장치를 생산하며 통신 분야로 영역을 넓혔습니다.

이동통신 사업 진입과 성장

1980년대 들어 세계 각국에서 이동통신 기술 도입이 확산되자 노키아는 1982년 첫 자동차용 핸즈프리 전화기 ‘Mobira Senator’를 출시하며 통신 장비 시장에 본격 진입했습니다. 1987년에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Mobira Cityman’을 선보여 대중의 관심을 끌었으며, 1992년 GSM(2세대 디지털 이동통신) 기술이 유럽을 중심으로 상용화되자 노키아는 디지털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기 개발에 주력했습니다.

GSM 휴대전화의 선두주자

1994년 ‘Nokia 1011’을 세계 최초 GSM 단말로 출시한 후, 1996년 ‘Nokia 9000 Communicator’로 PDA 기능을 휴대전화에 결합했습니다. 이어 1998년 출시된 ‘Nokia 5110’은 알파벳·숫자·그래픽이 가능한 모노크롬 디스플레이와 교체 가능한 커버를 선보여 디자인·실용성 면에서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노키아는 소비자 편의성과 안정성을 강조한 기기 설계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했습니다.

피처폰 시대의 전성기

2000년대 초반 출시된 ‘Nokia 3310’은 강력한 내구성과 긴 배터리 수명, 다채로운 벨소리·게임 기능으로 전 세계 1억대 이상이 판매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후 ‘Nokia 6600’, ‘Nokia Nseries’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고급 기종을 연이어 출시하며 소비자층을 확대했고, 2007년경에는 전 세계 휴대전화 시장의 약 40%를 차지했습니다.

스마트폰 전환기의 도전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발표하며 멀티터치 인터페이스·앱 생태계를 도입하자 노키아는 기존 심비안(Symbian) OS 기반의 스마트폰 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2010년대 초반까지도 심비안 생태계를 유지했으나, 사용자 경험과 개발자 지원 경쟁에서 뒤처지자 2011년 스티븐 엘롭(Stephen Elop) CEO 재임기 중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윈도우폰(Windows Phone) OS로 전환했습니다.

윈도우폰 전환과 성과

2011년 발표된 ‘Nokia Lumia’ 시리즈는 윈도우폰 OS와 결합해 세련된 타일 기반 UI, 빠른 실행 속도, 통합형 지도·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했습니다. Lumia 520, 720, 920 등 중저가부터 고급 기종까지 포트폴리오를 갖추었으나, 애플 iOS와 안드로이드 생태계에 비해 앱·서비스 생태계 규모가 작아 시장 점유율을 크게 확대하지는 못했습니다.

스마트폰 시장 경쟁 심화

2012~2013년 삼성전자·애플·구글(안드로이드 OEM) 등의 강력한 경쟁에 윈도우폰 점유율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3% 미만으로 하락했고, 이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적 변화가 요구되었습니다.

사업 구조 재편과 네트워크 장비 집중

2014년 마이크로소프트가 노키아의 휴대전화 사업부를 인수함에 따라 노키아는 휴대전화 제조업에서 철수하고, 통신 장비·네트워크 솔루션·기술 라이선싱 사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후 네트워크 장비·5G 솔루션·광통신 장비 시장에서 에릭슨·화웨이와 경쟁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5G와 미래 네트워크 기술

노키아는 2018년부터 5G 상용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대용량·초저지연 통신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2020년대 중반 현재까지 주요 이동통신사와 협력해 5G 코어·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백홀 솔루션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가상화(NFV),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분야에서도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및 기업 서비스

네트워크 장비 외에도 클라우드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IoT 플랫폼,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을 통해 기업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통합 보안 서비스·모빌리티 관리 서비스·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IT 서비스 사업을 전개합니다.

브랜드 가치와 글로벌 영향력

노키아는 과거 휴대전화 시장의 아이콘으로서 소비자에게 ‘신뢰성 높은 제품’ 이미지를 굳혔으며, 21세기 들어서는 네트워크 장비·5G 솔루션 분야에서 글로벌 톱티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5년 기준 전 세계 통신 장비 시장에서 약 2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통신 인프라 구축과 사회·환경적 책임을 강조하는 기업 철학을 견지합니다.

결론

노키아는 제지업에서 출발해 휴대전화의 전성기를 이끌고, 스마트폰 전환기에는 도전과 변화를 겪은 뒤, 현재는 통신 장비·네트워크 솔루션 분야에서 다시 한 번 혁신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미래 통신 기술과 디지털 전환 시대에 노키아의 경험과 기술력은 다양한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지속해서 제공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