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변죽만 울리다 뜻, 사자성어, 유래, 예시, 비슷한 속담, 영어로, 반대말

by NewWinds 2025. 5. 9.

"변죽만 울리다"는 이야기의 핵심이나 본질은 말하지 않고 주변적인 이야기만 하며 빙빙 돌려 말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어떤 문제의 본론이나 중요한 내용은 말하지 않고, 겉도는 말이나 행동으로 분위기만 흐리거나 눈치를 본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의미와 어원

어원적 배경

  • '변죽'은 원래 북이나 꽹과리의 가장자리 부분을 뜻하는 말입니다.
  • 즉, 북의 가운데(중심)를 치지 않고 변죽만 울리면 제대로 된 소리가 나지 않듯이, 이야기의 중심을 피하고 겉도는 말만 하는 태도를 비유한 표현입니다.

용례와 쓰임

  • "그 사람은 항상 변죽만 울리지, 정작 중요한 말은 안 해."
  • "회의 내내 변죽만 울리다가 정작 결정은 못 내렸어."

실생활 예시

예시 1: 회의 중 전략 회피

부서 회의에서 실적 부진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자, 팀장은 구체적인 해결책보다는 외부 환경 탓만 하며 변죽만 울렸고, 직원들은 답답함을 느꼈다.

예시 2: 고백하지 못한 마음

지우는 친구에게 오랜 시간 호감을 가졌지만, 매번 빙 돌려 이야기하고 장난만 치다가 진심을 전하지 못했다. 친구는 "너 왜 자꾸 변죽만 울리냐? 할 말 있으면 해!"라고 말했다.

관련 심리 개념

회피 행동 (Avoidant Behavior)

  • 불편하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주제를 피하려는 심리.
  • 핵심을 말하지 않고 변죽만 울리는 것은 심리적으로 직접적인 대면을 꺼리는 태도와 연결됨.

암시적 의사소통 (Implicit Communication)

  •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뉘앙스나 행동으로 의도를 전달하려는 방식.
  • 이는 때때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며, 소통의 명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

유사한 표현 및 영어 속담

한국어 표현

  • 빙빙 돌려 말하다: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말함.
  • 말끝만 흐리다: 정확한 표현을 피하고 애매하게 말함.

영어 표현

  • Beat around the bush: 말을 돌려서 하다, 핵심을 피하다.
  • Skirt the issue: 문제의 핵심을 회피하다.

반대 의미의 표현

속담 및 표현

  • 직설적이다: 돌려 말하지 않고 바로 말하는 태도.
  • 사이다 발언: 속 시원하게 핵심을 찌르는 말.

고사성어

  • 정곡을 찌르다(正鵠~): 정확히 핵심을 지적하다.
  • 직언충고(直言忠告): 진심 어린 마음으로 바르게 말함.

교훈과 성찰

"변죽만 울리다"는 표현은 중요한 말이나 행동을 회피할 때 생길 수 있는 소통의 문제를 환기시킵니다. 때로는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감정이 있더라도, 진정한 소통은 중심을 찌르고 본질을 나누는 데서 출발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말하고자 할 때, 용기 있게 본론을 꺼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변죽만 울리는 말은 듣는 이의 마음을 답답하게 할 수 있으며, 때로는 기회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