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기2 척화비 : 조선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서양 세력을 배척하고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전국에 세운 비석 척화비(斥和碑)는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이 서양 열강의 침략을 물리친 후 쇄국 의지를 천명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입니다. 1871년(고종 8년)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직후 흥선대원군은 서울 종로 네거리를 비롯하여 전국 200여 개소의 교통 요충지에 이 비석을 세웠습니다. 척화비는 "화친을 배척한다"는 뜻으로, 서양과의 통상 수교를 단호히 거부하는 조선의 입장을 백성들에게 분명히 알리고자 한 상징물이었습니다. 비석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는 것은 곧 화친을 하자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새겨져 있어 당시 조선의 대외정책을 명확히 보여줍니다.척화비의 역사적 배경척화비가 세워진 19세기 중후반은 서양 제국주의 열강이 동아시아로 진출하던 격.. 2025. 10. 29. 동학농민운동: 민중의 항쟁과 개혁의 열망 동학농민운동이란 무엇인가?정의와 배경동학농민운동은 1894년 조선 말기에 발생한 대규모 농민 항쟁으로, 동학 사상을 기반으로 한 민중들이 부패한 정치와 사회 구조에 맞서 일어난 사건입니다.동학의 사상적 기반동학은 최제우가 창시한 종교이자 사회운동으로, 인간 평등과 자주적 삶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민중들에게 큰 공감을 얻으며 농민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습니다.조선 후기의 사회적 위기조선 말기에는 지배층의 부패, 과도한 세금 징수, 외세 침탈 등으로 민중들의 삶이 크게 피폐해졌습니다.민중들의 불만과 저항이러한 배경 속에서 농민들은 기존 체제에 저항하며 새로운 사회 질서를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동학의 확산동학은 경주 지역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조선 민중들의 사상적 구심점이 되었습니다.최제우와 동학.. 2024. 11.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