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91

노리마츠 마사야스 : 乘松雅休,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선교사의 삶과 헌신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 조선인들에게 일본인이라는 것은 곧 침략자와 가해자를 의미했습니다. 하지만 그 시대에도 조선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조선인보다 더 조선인답게 살았던 일본인이 있었습니다. 바로 노리마츠 마사야스(乘松雅休, 1863~1921)입니다. 그는 일본 개신교 역사상 최초의 해외 선교사로서, 수원을 중심으로 18년간 헌신적인 선교활동을 펼쳤으며, 조선총독부의 무력통치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3.1운동을 지지했던 용기 있는 인물이었습니다.사무라이 집안 출신에서 선교사로의 전환초기 생애와 신앙의 시작노리마츠 마사야스는 1863년 일본 시코쿠(四國) 북서부의 사무라이 집안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원래 그는 가나가와 현청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며 평범한 일본인으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은.. 2025. 6. 20.
호상비문 : 고려대학교의 정신과 민족의 기개를 새긴 명문 1. 호상비문이란 무엇인가?‘호상비문(虎像碑文)’은 고려대학교 캠퍼스의 상징물인 호랑이 동상(호상, 虎像)의 받침석 뒷면에 새겨진 글로, 고려대학교의 정신과 민족적 기개를 담아낸 헌시(獻詩)이자 찬시(讚詩)입니다. 이 비문은 1965년, 학생들과 교우들이 성금을 모아 호상 동상을 제작하고 제막할 때 함께 공개되었습니다. 글을 쓴 이는 청록파 시인으로 유명한 조지훈(趙芝薰, 1920~1968)으로, 당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였습니다. 호상비문은 단순한 학교 기념비문을 넘어, 민족의 힘과 꿈, 젊은이의 야망, 자유와 정의, 진리와 지조, 그리고 조국의 영원한 고동을 상징적으로 노래하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오늘날까지도 고려대학교의 응원가 ‘민족의 아리아’의 원작시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2. 호상과 .. 2025. 6. 19.
김태촌 사망 : 한국 조직폭력계의 전설이 남긴 마지막 이야기 김태촌의 마지막 순간과 사망 소식2013년 1월 5일 오전 0시 42분, 1970~1980년대 한국 조직폭력계를 평정했던 범서방파 두목 김태촌이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서 향년 64세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단순한 개인의 사망이 아닌, 한국 현대사의 어두운 이면을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의 마지막이었다. 김태촌은 2010년 12월 갑상샘 치료를 위해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후, 2012년 3월부터 호흡곤란 증세를 보여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왔다. 서울대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중환자실에 계속 입원해 있다가 오늘 새벽 숨졌다"고 밝혔으며, 사망원인은 급성 패혈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전해졌다.김태촌의 생애: 전라남도 담양에서 전국구 두목까지초기 생애와 조직폭력계 입문김.. 2025. 6. 17.
딴따라 뜻 : 연예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 관악기 소리를 빗댄 영어 의성어 'tantar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 딴따라의 어원적 정의와 언어적 기반딴따라는 연예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관악기 소리를 빗댄 영어 의성어 'tantar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 용어는 1950년대 후반부터 신문에서 '딴따라풍 유행가' 같은 표현이 나오면서 많이 알려졌으며, 특히 '딴따라 같은 삼류 인생', '딴따라 주제에'처럼 쓰이면서 가수와 배우를 비하해 부르는 용어로 굳어졌다.어원에 대한 다양한 설딴따라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영어 의성어 'tantara'에서 나왔다는 설로, 이는 트럼펫이나 호른 등 취주악 소리를 들리는 대로 적은 것이다. 아마 미8군 등을 통해 흘러나온 말로 보이며, 주한미군을 거쳐 해당 영어 표현이 한국에도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는 일제강점기 유랑극단이.. 2025. 6. 16.
오키도키 뜻, 어원, 의미, 그리고 문화적 확산 : Okey-dokey, "알겠다", "좋아"를 뜻하는 "OK"와 동일한 의미 어원적 기반과 언어적 변천오키도키(Okey-dokey)는 영어 "OK"의 유쾌한 변형으로, 20세기 초 미국에서 유래한 캐주얼한 표현이다. 이 용어는 1930년대 미국 코미디 영화 〈The Little Rascals〉에서 "Oki-Doki"로 처음 등장하며 대중화되었으며, 1984년 영화 〈인디아나 존스: 미궁의 전설〉에서 재조명되며 글로벌 확산을 이뤘다.1. OK의 기원과의 연계OK의 뿌리는 1839년 보스턴 신문에서 "Oll Korrect"(All Correct의 의도적 오류) 약어로 처음 기록되었다.정치적 캠페인(1840년 마틴 밴 뷰런 대통령 후보 지지 운동)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일상어로 정착.2. 음운론적 확장OK에 리듬감을 더하기 위해 "dokey"를 추가한 이중화(reduplicati.. 2025. 6. 16.
토리파이탄 뜻 : 鶏白湯, 일본 라멘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닭뼈를 장시간 끓여 만든 뽀얀 육수를 의미 토리파이탄(鶏白湯)은 일본 라멘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닭뼈를 장시간 끓여 만든 뽀얀 육수를 의미하는 용어다. 이 용어는 닭을 뜻하는 일본어 '토리(鶏)'와 중국어에서 유래한 흰 국물을 의미하는 '파이탄(白湯)'의 합성어로, 2010년대 이후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라멘 시장에서 주목받는 메뉴로 자리매김했다. 닭의 골수와 결합조직에서 추출된 콜라겐과 지방이 유화되어 생성되는 독특한 크리미함이 특징이며, 기존 돼지뼈(돈코츠) 기반 라멘과 차별화된 맛 프로필을 구축했다.어원적 기반과 개념적 진화중국 요리에서의 기원'파이탄(白湯)' 개념은 중국 요리의 백탕(白湯)에서 유래했다. 중국어에서 '백탕'은 닭, 돼지, 어류 등 다양한 재료를 고온에서 장시간 끌여내어 유화시킨 희고 탁한 국물을 총칭한다. 이 중.. 2025. 6. 15.